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대상유형별

270

[통일부] 2025 통일문화 콘텐츠 공모전
기타

6,840만원

41 일 남음

2025-08-15 ~ 2025-10-02

전체대상
통일부
2025 통일문화 콘텐츠 공모전 운영사무국 02-3409-2665
unikcontest@gmail.com
다운로드  양식다운로드 공모전 홈페이지
https://www.unikcontest.kr
○ 공모일정

1. 2025.08.15.(금) 00:00 ~ 2025.10.02.(목) 23:59

1) 사전 검수- 참가자격 제출서류 확인

2) 응모작 심사- 10.13.(월)∼15.(수)

3) 온라인 투표- 10.20.(월)∼24.(금)

4) 수상작 발표- 11.04.(화)

5) 시상- 개별 통보

  * 공모전 상황에 따라 추진 일정이 일부 변경될 수 있음.

○ 참가대상

1. 전 국민(성인) 대상(개인 또는 팀)

- AI 부문은 초·중·고 학생 및 동일 연령 청소년 포함하여 별도 진행

- 팀은 최대 4인까지 참여

○ 공모주제

1. 우리의 일상과 삶 속에서 마주하는 평화와 통일 미래 관련 자유 주제

- 일상과 삶(여행, 취업 등)에 일어날 통일 미래에 대한 기대

- 평화와 통일에 대한 바람과 염원

- 분단으로 힘겨운 가족과 친구, 이웃들의 이야기에 대한 공감

  * 광복 80년과 통일의 의미를 함께 아우르는 작품 환영

○ 공모분야

1. 일반 분야

- 숏폼 영상

- 웹툰/컷툰(인스타툰 포함)

- 디자인(포스터, 카드뉴스, 이모티콘, (디지털)굿즈, 사진/그림)

- 표어/슬로건

 

2. AI 활용 분야

- AI 캐릭터

- AI 숏폼 ‘나의 살던 고향은’

- AI 스마트툰

○ 접수방법

1. 통일문화 콘텐츠 공모전 홈페이지(www.unikcontest.kr)에 접속하여 참가서류 일체를 제출

  * 참가신청 : 공모전 홈페이지 접속 → [메인 페이지] 공모전 안내 요약 확인 → 가이드 영상 시청(유튜브 링크 연결) → [공모전 안내] 상세 내용 확인 → [접수 하기] 클릭 → [접수 확인]  * 메인 화면에서 공모전 소개 영상 확인 및 안내문 다운로드 가능

 

[접수 유의사항]

1. 동일 참가자(팀)가 공모 각 분야와 부문(세부 부문 포함) 모두에 응모할 수 있으며 최대 3점까지 출품 가능하나 중복 수상은 불가

  * 다만 참가신청서 각각 제출 필요

- 표어‧슬로건 및 디자인 부문은 개인 참가만 가능하며 그 외 부문은 팀 참가 가능

  * 저작권 귀속 관련 문제는 팀 내 자율 조정

- 우편접수 및 단체 접수는 불가

○ 제출형식

[분야별 제출 규격]

- 작품 제출 시 인용한 저작물의 출처 및 라이선스 포함

- 디자인 프로그램 및 서식 사용 금지

- AI활용 시 단순 생성물에 추가적인 보정을 한 후 원본과 보정본 제출, 사용한 AI 툴과 방법 제시 

 

 

[일반 분야]

1. 숏폼 영상

1) 규격

- 모든 장르- 3분 이내(30초~1분 이내 권장)

- 해시태그 : #통일문화콘텐츠공모전 #통일문화공모전 #unikcontest

2) 형식

- 해상도:1080*1920px 이상 권장(세로형 9:16) / avi, wmv, mov, mp4 (500MB이하) 

 

2. 웹툰

1) 규격

- 스크롤형, 16컷 이내

- 컷 간 자연스러운 흐름이 느껴질 수 있도록 짧은 스토리나 상황 중심 구성 권장

- 전문가 수준의 작화보다 아이디어와 표현력을 중점평가

- 웹툰 플랫폼 스타일 참고 가능

  * 밈(Meme) 활용 가능 단, 직접 창작하거나 패러디한 형태만 허용하며, 타인의 이미지·저작물 무단 사용은 제한

2) 형식

- 가로 690px 기준- JPG(권장), PNG 

 

3. 컷툰(인스타툰 포함)

1) 규격

- 정사각형 4~10컷 권장

- 최소 1컷 이상 제출 가능

- 캐릭터 중심 1컷 또는 짧은 상황극 형식도 가능, 컷 수 제한 없이 자유롭게 표현 가능

  * SNS 게시물 형식의 감성툰·상황툰도 제출 가능

  * 밈(Meme) 활용 가능 단, 직접 창작하거나 패러디한 형태만 허용하며, 타인의 이미지·저작물 무단 사용은 제한

2) 형식

- 해상도:1080*1080px 이상 권장

- JPG(권장), PNG 

 

4. 디자인_포스터

1) 규격

- 세로형 권장

- 디지털 A2/수작업 A3

  * 수작업 작품의 경우 촬영 또는 스캔본 제출

  * 규격 확인을 위해 추후 원본 파일 제출 요청 가능

2) 형식

- 해상도:A3 : 3508*4961px 이상 권장 / A2 : 4961*7016px 이상 권장

- JPG(권장),PNG 

 

5. 디자인_카드뉴스

1) 규격- 4컷~10컷

  * 해당 기준을 위반한 작품은 심사에서 제외 가능

2) 형식

- 해상도:1080*1080px 이상 권장

- JPG(권장), PNG 

 

6. 디자인_이모티콘

1) 규격

- 한가지 캐릭터를 기반으로 최소 4종 이상의 이모티콘 세트 제출 가능(예시 : 웃는 모습, 화난 모습, 인사하는 모습 등)

- 12~16종 세트 제출 권장

  * 통일부 캐릭터(소통이), 세송이 물망초 등 활용 가능

2) 형식

- 해상도 : 360*360px 이상 권장

- PNG(배경 투명) 

 

7. 디자인_(디지털)굿즈

1) 규격

- 디지털 A2 / 수작업 A3

  * 실사용을 전제로 한 창의적 디자인 제안 가능 (예시: 달력, 배경화면, 스티커, 키링, 에코백, 엽서 등)

  * 통일부 캐릭터(소통이), 세송이 물망초 등 활용 가능

2) 형식

- 해상도 : A3 : 3508*4961px 이상 권장 / A2 : 4961*7016px 이상 권장

- JPG 또는 PNG(배경 투명 여부 무관)

  * 형식 자유

 

8. 디자인_사진

1) 규격- 모바일 촬영 이미지도 가능

  * 사진은 촬영일시, 장소 기재

  * 과도한 보정과 불법 촬영 등은 심사 제외

2) 형식

- 해상도 : 1280*960px 이상 권장

- JPG 또는 PNG

  * 배경 투명 여부 관계 없음 

 

9. 디자인_그림

1) 규격

- 단장 이미지형(1컷 카드뉴스 형식)

- 텍스트 + 이미지 조합 자유

  * 밈(Meme)형식의 이미지 표현가능

  * 표절, 과도한 비속어·선정성 불가

2) 형식

- 해상도 : 1280*960px 이상 권장

- JPG 또는 PNG

  * 배경 투명 여부 관계 없음 

 

10. 표어/슬로건

1) 규격(중복 선택 가능)

- 표어 또는 슬로건 : 30자 이내(공백 포함)

- 공감 가는 문장 또는 에세이 한 줄: 100자 이내(공백 포함)

  * 주제 : 통일(공통), 일상, 공감, 평화 등

2) 형식

- 한글 또는 영문 텍스트

- PDF 파일로 제출

 

[AI 활용 분야]

1. AI_캐릭터

1) 규격

- 정면 / 측면 / 활용 예시 중 2종 이상 제출 권장

  *단, 완성된 캐릭터 1컷만으로도 참여 가능하며, 심사 시 창의성과 활용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

2) 형식

- JPG, PNG, AI 또는 PSD 파일

 

2. AI_ 숏폼 ’나의 살던 고향은’

1) 규격

- 모든장르

- 3분 이내(30초 ~ 1분 이내 권장)

  * (예시) 주변 이산가족의 고향과 헤어진 가족 얼굴‧목소리 복원 등

2) 형식

- 해상도:1080*1920px 이상 권장(세로형 9:16)

- avi, wmv, mov, mp4 (500MB이하)

 

3. AI_스마트툰

1) 규격

- 세로스크롤형, 16컷 이내

2) 형식

- 해상도:1080*1920px 이상 권장

- JPG, PNG 또는 ZIP(웹 연재형)

 

* 수상작은 선정 후 운영사무국의 요청에 따라 원본(파일) 및 30초 가량 요약본(숏폼 영상), 대표 이미지(썸네일) 3컷 제출

○ 심사방법 및 기준

1. 연재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절차를 거쳐 공정한 평가를 진행

- 통일, 문화·예술, 콘텐츠 등 분야별 전문가를 포함하여 내부 및 외부위원 5명 내외로 위촉

- 심사위원 위촉, 심사 기준 및 절차, 감수, 공개검증 등 세부계획 수립 및 시행

  * 표절 및 도용, 별도 부문 외 AI 활용 작품의 수상 방지대책 등 포함

2. 심사절차

- 1차 심사→감수→대국민 온라인 투표→2차 심사→공개검증 순으로 진행 

* 다만, 2차 심사는 접수 상황 및 심사 계획에 따라 생략 가능하며 선정 작품수 등 세부사항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3. 심사기준

- 창의성, 주제적합성, 대중성, 완성도 등 종합적 평가

○ 시상내역

1. 시상규모

- 총 75점, 총 상금 6,840만원

- 대상5, 최우수상14, 우수상21, 인기상35, 대상·최우수상·우수상의 경우 통일부장관 명의 상장 수여

 

[일반분야 : 숏폼, 웹툰/컷툰, 디자인]

- 인기상(부문별 각 5팀) : 30만원

- 우수상(부문별 각 3팀) : 100만원

- 최우수상(부문별 각 2팀) : 300만원

- 대상(부문별 각 1팀) : 500만원 

 

[일반분야 : 표어/슬로건]

- 인기상(부문별 각 5팀) : 20만원

- 우수상(부문별 각 3팀) : 30만원

- 최우수상(부문별 각 2팀) : 50만원

- 대상(부문별 각 1팀) : 100만원 

 

[AI 활용 분야 : 캐릭터, 숏폼, 스마트툰]

- 인기상(부문별 각 5팀) : 30만원

- 우수상(부문별 각 3팀) : 50만원

- 최우수상(부문별 각 2팀) : 100만원

- 대상(전체 1팀) : 300만원 

○ 유의사항

[저작권 보호]

1. AI 활용 분야 외 일반 분야의 경우 응모작품은 반드시 응모자의 순수 창작물이어야 합니다.

- 같은 작품으로 다른 기관의 공모전 등에 입상하였거나 타인의 저작권 또는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경우 심사 대상에서 제외, 입상을 취소하고 상금을 환수합니다.

- 또한 이와 관련한 분쟁에서 모든 책임과 부담은 응모자에게 있습니다.

2. 제3자의 저작물을 인용하는 경우 제3자에게 저작재산권을 양도받거나 이용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 영상/이미지/음원/폰트 등 공개된 저작물 인용 시에도 저작자의 허락을 받아야 하며 공모전 출품 목적 내에서 정당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 자세한 사항은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또는 공공누리,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음악저작권협회(www.komca.or.kr) 등에 문의

3. AI 활용 분야 참가자는 AI 생성 원본과 편집된 최종 보정본을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

- AI 툴 사용 시, 해당 툴의 이용약관을 준수해야 하며, 상업적 이용 제한이 있는 도구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법적 책임은 참가자에게 있습니다.

- 최종 제출된 보정본은 참가자의 창작 기여도가 명확해야하며, 단순 생성 결과물은 수상 대상에서 제외된 수 있습니다.

- 제출된 작품은 타인의 저작권, 초상권, 상표권 등을 침해하지 않아야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참가자가 책임을 집니다.

4. 응모작품에 대한 저작권은 원칙적으로 응모자에게 귀속됩니다. 다만, 수상작품에 한해 저작권 활용 동의를 받아 통일부가 저작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공모전 취지·목적 달성을 위해 5년 간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통일부는 복제, 전시 및 배포 등 공익적․비영리적 목적으로 각종 홍보 및 행사 등에 수상 콘텐츠를 활용할 권리를 가집니다.

- 수상작의 경우 응모와 동시에 제시된 방법과 조건의 범위 안에서 저작물에 대한 이용을 허락한 것으로 간주하고, 지적재산권에 대한 이용료는 상금으로 대체합니다.

 

[사회적 책임]

1. 응모작품은 공공질서 또는 미풍양속을 저해하거나 종교, 특정 성·집단 등을 비하하거나 인권을 침해해서는 안되며, 역사적 왜곡을 해서도 안 됩니다.

- 위와 같은 사유로 이의신청 및 시비 발생 시 심사에서의 감점 또는 수상이 무효처리 되며, 입상이 취소되고 지급된 상장 및 상금은 환수 조치됩니다.

 

[기타 사항]

1. 동일 참가자(팀)가 공모 분야‧부문 모두에 응모할 수 있으며 부문별로최대 3점까지 출품할 수 있으나 중복 수상은 불가합니다.

  * 시상 등급(또는 상금)이 더 높은 1건으로 수상 제한- 표어‧슬로건 및 디자인 부문은 개인 참가만 가능하며 그 외 부문은 팀으로도 참가 가능합니다.

  * 저작권 귀속 관련 문제는 팀 내 자율 조정사항으로 주최측의 관여 불가

2. 참가자는 심사 결과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으며, 채점표 등의 심사 관련 자료는 공개하지 않습니다.

3. 심사 결과 수상에 적합한 수준의 공모작이 없는 경우 시상 내역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4. 상금 지급 시 개인정보와 통장사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재세공과금을 공제한 후 지급합니다.

- 팀 시상 시 팀명으로 상장이 수여되며 상금은 대표자에게 전달되고, 이후 상금 분할 문제에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5. 참가자는 주최 측의 인터뷰 영상 제작 등 공모전 진행에 협조하며 공모전 참가를 위하여 소요되는 비용은 전액 응모자가 부담합니다.

6. 제출된 작품 중 입상하지 않은 응모작에 한하여, 응모자가 수상작 발표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반환을 요청하는 경우 반환이 가능하며, 이 때 발생하는 제반 비용은 응모자의 부담으로 합니다.

7. 참가 신청서 등 제출된 서류 일체는 반환되지 않으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8. 공모전 응모자 만족도 조사, 공모전의 보완 및 개선을 위한 설문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 문의처

<2025 통일문화 콘텐츠 공모전 운영사무국>

- 전화 : 02-3409-2665(평일 10:00 ~ 18:00)

- 이메일 : unikcontest@gmail.com

- 주소 : 서울시 성동구 아차산로 17길 48 SKV1센터 317-318호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공모전

본 공모전은 주최측의 사정에 따라 댓글문의를 운영하지 않습니다.
공모전 관련 문의사항은 문의처(02-3409-2665) 또는 이메일(unikcontest@gmail.com)로 문의해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