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컬쳐 | 월드리포트

동심으로의 초대-미국 칼드콧(The Caldecott) 수장작을 만나다

이윤주 | 2009-08-04




세상에 찌들었다는 생각이 들 때, 스스로가 돈 버는 기계처럼 느껴질 때. 그럴 때마다 들추어 보며 생동감과 순수함을 되살릴 수 있게 해주는 것이 바로 그림책이 아닐까. 물론 그림책도 하나의 상품이지만 단순한 상품이라기보다 이야기를 파는 것이기에 흥미롭다. 어린이만 그림책을 읽는 것이 아니라 취향도 경험도 다른 사람들이 다양한 이유로 그림책을 찾고 있지 않은가. 때문에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은 불특정 다수를 위한 작품이며 작가의 의지와 독창성이 더욱 중요시 되는 매력적인 작업이다. 각양각색의 작가들이 자신만의 개성을 담뿍 담아 놓은 그림책 가운데 미국의 칼드콧(The Caldecott) 수상작 몇 권을 소개하고자 한다.


 


| 이윤주 Source Interlink Media Art Director


에디터 | 정윤희 ( yhjung@jungle.co.kr )


 


칼드콧 상은 미국 도서관협회(American Library Association) 산하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 협회(Association for Library Service to Children)가 선정하는 것으로 일러스트와 이야기 모두에서 예술성이 인정되는 작품에 수여한다. 칼드콧 메달(The Caldecott Medal)과 칼드콧 아너(The Caldecott Honor)로 나뉘는데 칼드콧 메달은 19세기 영국 일러스트레이터인 랜돌프 칼드콧(Randolph Caldecott)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다. 1938년 도로시 라스롭(Dorothy P. Lathrop)의 『성경 내 동물들(Animals of the Bible)』이 처음 수상하였으며, 뉴버리 메달(Newbery Medal)과 함께 미국 내에서 가장 권위 있는 그림책 상으로 꼽힌다. 칼드콧 아너는 헬렌 딘 피쉬(Helen Dean Fish)의 이야기에 로버트 로슨(Robert Lawson)의 그림이 더해진 『포 앤 투웬티 블랙버즈(Four and Twenty Blackbirds)』가 첫 번째 수상작으로 이름을 올린 바 있다. 많은 사람들이 칼드콧 상의 수상여부를 기준으로 그림책을 선택하기 때문에 이 상은 그림책 일러스트레이터와 작가들이 부와 명예를 함께 얻을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미국에서 가장 많이 읽혀지고 지금까지도 꾸준히 사랑 받고 있는 그림책 중의 하나다. 1963년 초판 발행된 이 그림책은 모리스 샌닥(Maurice Sendak)이 글과 그림을 모두 맡았으며, 1964년 칼드콧 메달을 수상했다.


내용을 잠깐 살펴보면 Wild Thing으로 불리는, 말썽쟁이 맥스가 스스로 Wild Thing을 찾아 항해를 시작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항해 끝에 무시무시한 괴물의 모습을 한 Wild Thing들이 있는 곳에 당도한 맥스는 눈싸움으로 괴물들을 제압하고 그들의 왕이 된다. Wild Thing들을 저녁도 굶기고 재우던 어느 날, 맥스는 외로움과 향수를 느끼고 다시 집으로 돌아가는 여행길에 오른다. 집에 도착한 맥스가 아직도 따뜻한 저녁상을 발견하는 것으로 그림책은 끝이 난다. Where The Wild Things Are』은 괴물, 악몽, 노여움 등 그림책에서 다루기 어려운 소재를 다루고 있어 더욱 흥미롭다. 책 속에서 맥스는 항상 늑대 복장을 하고 있는데 맥스가 품고 있는 분노를 표현하기 위한 도구가 아닌가 싶다. 또 선으로 명암을 넣는 크로스해칭(Crosshatching) 기법을 주로 사용해 거칠게 표현하고 어두운 톤의 색채를 사용했다. 이는 1960년대라는 시대적 배경을 감안하면 보편적인 스타일이라 볼 수 있겠지만 현대의 그림책에 비하면 색다르게 느껴진다. 이렇듯 다듬어지지 않고 어두운 분위기의 일러스트레이션들은 성난 맥스를 표현하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책이 지금까지 꾸준히 사랑 받고 있는 것을 보면, 한국인들이 도깨비를 친근하게 받아들이는 것처럼 ‘Wild Thing’ 속 괴물도 미국인들에게 친근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는 듯 하다. 재미있는 일화 하나를 소개하는 것으로 『Where The Wild Things Are』에 대한 감상을 마칠까 한다. 샌닥은 처음 괴물이 아닌 말을 그려 넣으려고 했는데, 자신이 말을 잘 그릴 수 없음을 깨닫고 괴물로 고쳐 그렸다고 한다. 하지만 괴물 대신 말이 등장했다면 지금만큼의 사랑을 받을 수 있었을지 모르겠다.



일러스트레이터 데이비드 위스너(David Wiesner)가 참여한 『Tuesday』는 1992년 칼드콧 메달을 수상한 작품이다. 이 그림책은 연 잎을 타고 나는 개구리라는 재미있는 상상에서 출발한다. 화요일 저녁 8시경, 불가사의한 연못에서 연 잎을 타고 날아다니는 개구리가 목격된다. 이 하늘을 나는 개구리들은 마을을 돌며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놀라게 하는 해프닝을 벌인다. 하늘을 날던 개구리들은 동틀 무렵이 되자 신데렐라의 마법이 풀리듯 일제히 연못으로 뛰어들어간다. 날이 밝은 후 어지럽게 널브러진 연 잎을 혼란스럽게 바라보는 수사관 뒤로 수선스럽게 주민들을 인터뷰하는 방송국 기자들의 모습이 보인다. 그로부터 일주일 후, 화요일 7 시 58 . 멀리서 날아오르는 돼지들의 그림자가 보인다.



Tuesday』은 일러스트레이션, 특히 그림책을 포함하여 모든 책에 관한 일러스트레이션의 모티프가 되는 모든 그림은 이야기를 말한다는 아이디어를 그림만이 이야기를 말한다로 극대화하고 있다. 각각의 시간을 표기하는 텍스트가 있을 뿐 한 컷, 한 컷의 일러스트가 이야기의 진행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는 것. 섬세한 수채화로 표현된 등장인물과 배경 등 소소한 디테일에 관심을 기울이면 작가의 재치와 유머를 발견할 수 있다. 색을 여러 겹으로 겹쳐서 채색한 위스너의 일러스트레이션은 채색 과정만큼이나 오랜 시간 구상해 왔던 작가의 고민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유화나 아크릴화에 비해 채도나 명도의 표현 범위에 한계가 있는 수채화로 작업했음에도 빛의 변화와 그로 인한 사물의 색채 변화를 섬세하고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또 시시각각 변화하는 시점과 원근에 의한 사물의 형태 변화를 정확하게 묘사함으로써 그림에 신빙성을 더하고 있으며, 이는 초현실적인 느낌을 자아낸다. 지루하지 않게 분할된 각각의 장과 책 전체에 걸친 다양한 구성 또한 이 그림책의 재미를 더해주는 것들이다.

한편 『Tuesday』는 2000년에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제프 던바(Geoff Dunbar)가 감독을 맡았고 프로듀서로는 비틀즈 맴버였던 폴 맥카트니(Paul McCartney)가 참여했다. 책의 말미를 장식하는 돼지가 계기가 되어 그린 차기작 『아기 돼지 삼형제(The Three Pigs)』로 2002년에 두 번째 칼드콧 메달을 수상하게 된다. 익숙한 아기 돼지 삼 형제를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 한 점과 세련된 구성을 인정받은 것. 그러나 섬세한 디테일만큼은 『Tuesday』가 단연 최고라 할 수 있다.


작가 데이비드 쉐넌(David Shannon) 5살 때 처음으로 쓰고 그린 작품을 토대로 한 데이빗 시리즈중 첫 작품으로 그의 자화상이라 할 수 있다. 1998년 칼드콧 아너를 수상한 그림책이다. 사고뭉치 데이빗에 대한 이야기로, 익살스러운 캐릭터가 인상적이다. 데이빗은 욕조가 넘치도록 물을 틀어 놓고 벌거벗은 채로 동네를 활보하거나, 냄비와 프라이팬으로 병정놀이를 하고, 저녁식사 거리로는 장난감을 만든다. 또 집안에서 야구 연습을 하다 화병을 깨뜨리고, TV 속 영웅의 흉내를 내느라 집안을 심하게 어지럽히기도 한다. 데비잇이 사고를 칠 때마다 엄마는 안돼, 데이빗!(No, David!)”을 외치지만 결국 사랑으로 보듬어준다.


하지 말라는 일은 더욱 하고 싶던 어린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데이빗은 독자들에게 익살스러운 향수를 선물한다. 이와 함께 언제나 따뜻한 사랑으로 감싸주었던 부모님의 사랑을 상기시켜 주기도 한다. 미국 일러스트레이션의 최신 트렌드를 보여주는 이 책은 컴퓨터 프로그램 대신 믹스 미디어(Mixed Media)를 사용하고 있다. 오렌지, 밝은 연두색 등 채도와 명도가 높은 색으로 채색하여 장난꾸러기 데이빗의 마음을 표현했다. 이와 대비되는 보색으로는 사고치는 순간 데이빗의 긴장감을 강조한다. 지루하지 않으면서 과하지 않게 작업된 일러스트레이션의 텍스처와 코믹한 캐릭터는 이 책의 관전 포인트다. 또 각각의 물체 성질에 맞추어 적절히 사용한 미디엄과 아크릴의 혼합으로 다양한 투명도를 구사하고 있어 주목할만 하다. 나무의자에는 미디엄을 섞어 밑그림 혹은 아웃라인을 드러나게 하고, 부분적으로 다시 겹쳐 바르고 붓자국을 내어 나뭇결을 표현했다. 또 벽은 마른 붓을 이용해 여러 겹의 아크릴로 텍스처를 주어 거친 회벽의 느낌을 표현하기도 했다. Tuesday』와 같이 이 책도 그림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유일한 텍스트가 일러스트레이션과 필연적인 관계를 맺으며 일러스트레이션의 느낌을 더욱 강조한다. 전체적으로 따스하고 화사한 느낌의 채색과 익살스러운 데이빗의 모습은 나이든 독자에게는 과거를 회상하는 즐거움을, 어린 독자들에게는 묘한 동질감을 선사한다.



1998년 칼드콧 메달을 수상한 이 그림책은 독일의 민담 라푼젤에 폴 젤린스키의 새로운 해 이 가미된 작품이다. 그는 이미 리카 레서(Rika Lesser)에 의해 다시 쓰여진 『헨젤과 그레텔(Hensel and Gretel), 『럼펄스킨(Rumpelstiltskin), 한국의 마고할미와 비슷한 모티프에서 출발한 앤 아이작(Anne Isaacs)의 『스왐프 앤젤(Swamp Angel)』로 칼드콧 아너와 메달을 수상한 바 있다. 젤린스키는 보통 다른 작가의 글에 일러스트레이션을 그리곤 했는데 이 책에서는 전해 내려오는 유명한 동화를 자신의 글로 옮기며 일러스트레이션을 그렸다.

임신한 아내의 부탁으로 허브를 훔치던 남편은 마녀에게 들키고 만다. 이 때문에 아이를 빼앗기게 되는데, 이 아이가 바로 라푼젤이다. 마녀는 라푼젤이 12살 되던 해에 높은 탑에 그녀를 가둔다. 라푼젤은 지나가던 왕자님과 사랑에 빠지게 되고, 자신의 긴 머리칼을 사다리 삼아 안타까운 사랑을 이어간다. 하지만 이를 눈치 챈 마녀가 라푼젤을 외딴 곳으로 쫓아내고 왕자의 눈을 멀게 한다. 라푼젤은 쌍둥이를 낳고, 우여곡절 끝에 왕자와 재회하게 된다. 이때 흘린 재회의 눈물이 왕자의 눈을 다시 뜨게 해 행복하게 살았다는 이야기다.


이 책의 일러스트레이션은 그림책 한 권에 모두 담기에는 아까우리만큼 작품성이 뛰어나다. 긴 작업시간을 요하는 유화 작품들이 수록되어 현대적 해 의 초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작품집 같기도 하다. 작가가 라푼젤의 배경 중 하나인 이탈리아의 건축물과 미술 작품을 그림책에 옮기려고 했기 때문인지 이탈리아의 건축물과 당시의 의상과 거장들의 미술 작품이 다수 등장한다. 전반적으로 미디엄을 많이 사용한 유화나 템프라화의 톤(약간의 옐로우 틴트)을 띄고 있다. 그림에 사용된 원근법도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원근법과 초기 르네상스, 혹은 고딕 양식과 동양 미술에서 보여지는 동양적 원근법(Isometric Perspective)의 중간쯤 되는 원근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 작품 곳곳에는 여러 시대의 특징적 사물 표현들이 복합적으로 녹아 들어 있다. 가령 나무의 형태나 색채 같은 경우 프랑스의 로코코 시대 작품을 보는 듯하고, 구름 낀 하늘의 풍경화 같은 것은 17~18세기 북유럽의 풍경화를 보고 있는 것 같다. 또 마지막에 등장하는 라푼젤 가족의 행복한 모습은 라파엘이나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성스러운 가족>의 구도와 색을 닮아 있다. 하지만 젤린스키가 적절한 특징을 빌려온 것일 뿐 결국 그의 의도대로 조화롭게 재구성 된 것이다. 신인만이 보여줄 수 있는 신선함은 없지만 이야기 진행에 충실한 모범적인 일러스트레이션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책은 그저 어린이들을 위한 아름다운 이야기만은 아니다. 이야기와 이야기를 녹여낼 수 있는 예술 작품이 공존하는 공간이다. 때문에 그림책은 어린이들은 물론, 자신만의 세계를 키워 온 어른들에게도 색다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굳이 어떤 의미를 찾지 않더라도 어릴 적 읽었던 그림책의 감흥을 다시 느껴보는 것은 어떨까. 많은 것을 응집하고 있는 그림책, 더군다나 그 가치를 인정받은 작품이라면 한번쯤 읽어보면서 일러스트레이터가 새겨 놓은 노력의 흔적을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운 일일 것이다.


 


 


참고 자료 | Wikipedia, ALA Caldecott Medal & Honor Winners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