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스페이스 | 리뷰

씨어터 2.0 Theater 2.0

2003-07-04


취재 김민혜 기자 사진 김재윤

디자인 로담건축(주)/ 김영옥 Tel. 02-3446-5732 프로젝트 디자인 팀
로담건축(주)/ 김 훈, 박세연, 서정용, 신미정 시공 로담건축(주) 협력업체
김상철 목공팀, 이영만 도장팀, 광명금속, 장원쇼파, 대우가구, 혜성산업, 프로아트, JHG KOREA Inc.
위치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654-5 한조빌딩 용도 극장, 카페 면적 지하1층(극장) - 300 ㎡/ 1층(카페) - 230 ㎡/ 2층 (매거진 카페 & 서점) - 150 ㎡ 설계기간 2002. 11∼2002. 12
시공기간 지하1층 - 2002. 12~2003. 3
바닥 러버타일, 카페트, 컬러콘크리트(B1F)/ 카펫타일(2F) 흡음텍스위 도장, 미송합판위 락카(BF1)
/ 미송합판위 락카, 특수도장, 칠판 천정 질석 뿜칠

Design Practice Rodemn A . I/ Kim, Young-ohk Builder
Rodemn A . I Location 654-5 Shinsa-dong, Gangnam-gu, Seoul
Use Theater, Cafe, Magazine Cafe, Book Store Size B1F(Mini Theater) - 300 ㎡/ 1F(Communication Cafe) - 230 ㎡/ 2F(Magazine Cafe & Book Store) Design Period 2002. 11~2002. 12 Flooring Lover Tile, Capet, Color Con'c(B1F), Capet Tile(2F) Wall Painting on Sound Absorption Material , Lacquer on Wood Panel, Speciality Painting, White Board, Black Board Ceiling Vermiculite Spray

영화는 1초에 24프레임으로 진행된다.
프레임은 화면(screen-2.3~2.5:1)을 기준으로 영상과 어둠사이에 경계선이지만 그 프레임 밖의 세계에도 감독의 시선은 확장되어 있다. 영화의 프레임은 카메라의 이동 방향에 따라 운동하지만 시간과 공간의 생략을 통해 더 큰 프레임 밖의 세계로 유도하기도 한다. 스크린의 각 장면은 기호이다. 의미를 가지고 이미지(정보)를 전달한다. 그것은 감독과 세상과의 대화이다. 고다르(Jean-Luc Godard) 영화에서 그는 관객이 영화속에서 감독을 만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했다. 그것은 베리만(Ingmar Bergman)이 '겉으로 드러난 모든 이미지 뒤에 실체에 더 근접한 또 다른 이미지가 있음을 안다. 그리고 그뒤에 아무도 볼수 없는 절대적인 실체에 이른다.'와 같은 의미 이다.

좋은 영화란 그냥 감지 되어야 한다.
콩은 노란색이기에 꽃도 노랗고 팥은 자주 빛이기에 꽃도 자주색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콩꽃은 자주색이고 팥꽃은 노랑색이다. 이미지와 실체에 관한 감지의 문제이다.
건축가가 뿌리이면 그 열매는 건축물이다. 디자이너는 열매로만 세상과 대화할수 있다.


이 장소는 다정한 내집과 같은 곳이다.

디자이너로서의 특별한 욕심과 의도된 장면 없이 그냥 계획되었다.
어린 나무를 심을 때의 기대처럼 몇 년쯤 지난 어느날,
영화와 삶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시간과 기억을 먹고 자란 무성한 나무의 모습을 그려본다.
83세 안토니오(Michelangelo Antonioni)의 마지막 작품으로 4편의 신선한 이야기가 그려진 「구름 저편에」中 대사이다.


- 현실은 어둠속에서 빛나고 진실은 침묵으로부터 들린다.-


기사제공: MARU Interior Design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