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아트 | 리뷰

공간은 시간을 먹고 자란다

2011-12-14


공간은 오래된 이야기를 품는다. 군사정권의 상징으로 닫혔던 기무사와 산업화의 폐기물이 깔때기처럼 모이는 지하 쓰레기 매립장 그리고 수천 년의 역사가 나뭇결마다 스며든 전통가옥 등 저마다의 공간이 가지는 장소성은 시간이 만든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치적인 장소는 미술관으로, 쓰레기 매립장은 공원으로 탈바꿈하면서 허물어지고 그 위에 다시 덮어지는 지층마다 역사가 쌓인다. 백승우, 노순택, 금혜원, 박형근은 각자 다른 시각으로 근현대 한국사회의 변천사를 함께해온 정치와 산업, 역사의 공간을 각각 촬영했다.

글 | 편집자 주
기사제공 | 월간사진 2011년 7월호

Space of Politics / 기무사 1
Kimusa archive Project 백승우


기무사 프로젝트는 공간이 변하기 전의 모습과 미술관으로 변해가고 있는 모습을 채집하는 단계이다. 공간의 기능이 전면적으로 변한다는 지점에 관심을 갖고, 그 사이에 내가 개입할 지점을 포착하기 위해 연구하는 중이다.


Space of Politics / 기무사 2
애처로운 애정의 거창한 욕망 노순택


사진이란 필연적으로 흔적이라지만, 흔적이라고 다 같은 흔적은 아닐 것이다.

흔적의 어떤 기준은, 그것이 ‘작동하던 시공간의 흔적인가, 작동을 멈춘 시공간의 흔적인가’일지 모른다.

기무사는 이제 없다. 적어도 그 자리에 있던 기무사는 이제 없다. 박정희가 활개치고, 전두환이 뛰어놀던 그 기무사는 무너져 내렸다.

기무사가 무너져 내리기 전, 뼈대는 있으되 모든 기능이 정지해 버린 시간, 그들이 보이지 않는 곳으로 이주해 버린 그 시간의 기무사를 사진기에 옮겨 담았다.

‘흔적을 없애려 노력한 흔적’이 거기에 있었다. 그러므로 나는 그 흔적들에 상상의 날개를 갖다 붙이며 작업하는 수밖에 없었다. 어떤 상상은 맞았을 것이고, 어떤 상상은 빗나갔으리라.

한국사회는 오랜 시간 군인의 시간이었다. 그것을 가능케 한 보금자리가 바로 보안사라는 옛 이름의 기무사였다. 보안사의 어떤 기능은 멈췄지만, 또 어떤 기능은, 작동하지 말아야 할 어떤 기능은 여전히 기무사에서 작동한다. 그 작동을 옛기무사터에서 바라볼 수는 없는 노릇이지만, 생각은 가능할 것이다. 흥미롭게도 옛기무사터는 이제 한국현대미술의 중심이 되기 위해 탈바꿈하고 있다. 군인과 정치와 예술…. 예나 지금이나, 혹은 내일에도 이곳의 화두는 욕망이 아닐까 싶다. 애처로운 애정의 거창한 욕망, 바로 그것.


* 백승우와 노순택은 국립현대미술관의 장기 사진기록 프로젝트를 의뢰받아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기무사터에 짓고 있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건축공사에 따른 변화과정을 기록하고 아카이브로 구성하는 중이다. 사진 결과물은 2013년 서울관 개관특별전에 전시될 예정이다.



Space of Industry / 지하 쓰레기 처리장
Urban Depth 금혜원


서울의 깊숙한 지하에 위치한 쓰레기처리시설에서는 매일 쏟아져 나오는 엄청난 양의 쓰레기를 사람의 손으로 일일이 수거하고 분류하는 고된 작업에서부터 쓰레기를 압축하고 처리하는 첨단 시스템까지 존재한다. 거대한 지하공간은 우리가 미처 지각하지 못하는 사이에, 혹은 그러한 사실을 망각하고 있는 사이 끊임없이 도시의 불순물들을 삼키고 소화한다. 그러나 이 중요한 공간은 도시 한복판에 엄연히 존재하면서도, 작은 표지판 하나 없이 은밀하게 스스로의 모습을 숨기고, 지상에 조성된 공원으로 스스로를 위장한다. 이처럼 엄연히 현실에 존재하지만 기피의 대상이거나 혹은 은폐되어 존재여부를 망각하는 공간에서 도시의 표면에 가려져 드러나지 않는 도시의 깊이를 가시화하고자 한다. 폐기된 사물들이 이루는 공간의 표정을 담은 것이다. 버려진 전자제품과 가구 등 생활폐기물이 이 장소 안에서 나름의 필요에 의해 선택, 재배치되는 풍경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또 다른 이야기를 만들고 있는 듯하다.



* 재건축 현장과 난지도 등 도시의 산업공간을 낯선 시각으로 기록해온 금혜원은 최근 도시의 지하 공간인 쓰레기 매립장을 기록하고 있다. 난지도와 재개발 현장, 쓰레기 처리 시설을 담은 그의 작업은 지난 3월 일민미술관에서 선보였다.



Space of History / 전통가옥
한국의 전통경관문화 박형근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민가의 조경과 정원 그리고 누정의 모습들을 현재의 관점에서 기록, 표현하는 사진 프로젝트이다. 민가의 조경과 정원은 자연의 순리에 역행하지 않기 위해 구조물의 지세, 산수, 인심, 생리 등이 주변 환경과 잘 동화하게 만들어졌다. 보존과 관리의 대상으로서 이들 공간과 장소들은 현대화된 도시에서 살아있는 역사 그 자체로서의 가치뿐 아니라 주변과 분리된 즉, 독립적이고 제한적인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또한 현대도시의 지속적인 확장과 디자인에 따른 전통경관 주변부의 변화된 상황들은 시공간이 혼재된 모습을 연출하기도 한다. 정원 프로젝트는 우리 전통문화의 미적가치에 대한 재고인 동시에 현대적 시선에 의해 비춰진 전통경관의 다층적인 모습을 사진가의 시선을 통해서 기록, 보존하고 있다.



* 박형근은 2010년 일민문화재단이 발간한 5번째 일민시각총서인 ‘격물치지’ 프로젝트의 의뢰를 받아 약 1년간 한국의 전통경관을 찍었다. 11명의 사진가가 찍은 작업물 1천여점이 2010년 6월 일민미술관에서 전시되었다.




facebook twitter

월간사진
새롭게 떠오르고 있거나, 국내에 알려지지 않은 다양한 분야의 많은 사진가가 월간사진을 통해 매달 소개되고 있습니다. 월간사진은 사진애호가와 사진가 모두의 입장에서 한발 앞서 작가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심도 깊은 사진가 인터뷰와 꼼꼼한 작품 고새로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대표 사진잡지입니다.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