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아트 | 리뷰

사회사진연구소 박진희의 ‘분단풍경’

2013-12-19

기사제공 ㅣ 월간 사진

출판사 창업 초기에 한동안 사진가집단 ‘사회사진연구소’와 사무실을 반반씩 나눠 사용한 적이 있다. 세종문화회관 뒤편 당주동 41번지에 있는 6층짜리 건물이었는데, 5층에는 볼륨댄스 교습소가 있었고, 그 윗층에 우리 사무실이 있었다. 사회사진연구소는 당시 민주화운동과 노동운동 등을 사진으로 기록하는 젊은 사진가집단이었는데 아침에 출근하면 현상약품 냄새가 실내에 진동하곤 했다. 전날 취재해 온 필름을 밤새 현상하고 인화한 모양이었다. 점차 재정 상태가 악화돼 사무실을 내주고 연구소와도 헤어지게 되었다. 생산 매체로서의 사진에 대한 인식은 같아도 현실적인 조건이 동거를 허락하지 않았던 것이다. 우리는 당시 거름출판사가 있던 서대문로터리 근처에서 더부살이를 시작했고, 사회사진연구소는 남영동의 허름한 적산가옥으로 이전을 했다. 그때 당주동에서 일했던 연구소 소속 사진가들은 25년이 지난 지금은 언론사 사진부의 중견이 되어 있거나 사진을 그만두고 다른 업종에 종사하고 있다.

남북 대치의 숨막히는 긴장감

사진 1은 사회사진연구소의 막내 사진가였던 박진희가 촬영한 판문점 사진이다. 최근 종전60주년 기념사진집을 만들면서 그에게 사진 몇 장을 부탁한 적이 있는데, 그가 보내온 사진을 보니 내가 지난 25년간 사진출판에 매달려온 것처럼 그도 줄곧 사진을 해 와서 반가웠다. 그 당시 청년이 이제는 중년이 되었고, 사진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었지만 사진에 대한 패기와 열정만큼은 아직도 여전한 것 같다.

세상에 덧없는 것은 없다. 모두가 존재하는 이유가 있다. 마찬가지로 사진도 덧없이 찍히지 않는다. 사진가는 직관적으로 장면을 요약하고 그것을 카메라에 담아낸다. 이 사진은 네 명의 등장인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요하고 정적이다. 이곳이 공동경비구역(JSA, 판문점)이라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그것은 팽팽한 긴장감이다. 세 명의 남측 경비병이 한 명의 북측 경비병을 소실점으로 바라보며 서 있다. 방문객이 있는 쪽의 경비병들이 나와 선다는 판문점 규정에 의하면 지금은 남측 지역에 판문점 방문객들이 와 있는 상황이다.

상단의 유난히 파란 겨울 하늘과 남측 경비병들이 서 있는 그늘진 하단 사이에 북측 판문각이 햇살을 받으며 서 있다. 이 사진은 대비를 통해 첨예한 남북 분단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남과 북의 모든 것이 이곳을 대척점으로 서 있다. 마치 이 사진 한 장이 허리 잘린 한반도의 모든 질량을 감당하고 있는 듯하다. 남북의 대치상황이 어름처럼 고정된 이 사진이 찍힐 때 울려 퍼졌을 셔터소리를 생각하면 가슴이 조마조마해진다. 주먹 쥐고 뒤돌아 서 있는 가운데 경비병이 꼭 뒤돌아볼 것만 같다

허위와 위선을 잡아낸 사진

아마 이 사진(사진 2)을 찍은 사진가는 이 장면을 찍기 위해 오랫동안 기다렸을 것이다. 마침내 멀리서 다가오는 차량들(개성공단 철수 차량)을 보고 그는 출입구 앞 중앙선 부근에 서서 셔터를 눌렀다. ‘백문이불여일견’이니 ‘Believing is Seeing’이니 ‘한 장의 사진이 모든 것을 말해 준다’느니 하는 말들은 모두 이 같은 사진을 보고 하는 말인 것 같다. 분단의 장벽과 같은 멋대가리 없는 톨게이트 구조물, 사진가 앞에 짝다리를 짚고 서 있는 (언제나 취재에 협조하기보다는 걸리적거리는)경찰관 그리고 개성공단에서 바리바리 짐을 싸들고 나오는 차량들은 작금의 한반도 상황을 잘 요약해 주고 있다. 모두 다 분단이 빚어낸 눈물겨운 상징들이다.

그러나 지난 세기말부터 풍미해 온 ‘한반도 포토 프로세스’에 의하면 이 사진은 측면광이고 또 컬러가 그렇게 우아하지 못하므로 잘못 찍은 사진이다. 따라서 이 사진은 미술관에 걸릴 수 없는, 그저 보도사진이나 자료사진쯤으로 치부해 버리고 말 것이다. 그런데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한국사진은 그동안 지나친 장면 요약으로 정작 보여줄 것을 보여주지 못해 왔다. 심지어 우리가 현실을 보는 시각마저 왜곡시켜 왔다. 조형적인 결함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 사진이 전해 주는 이야기를 들으며 뭉클했다.

이 사진이 놀라운 것은 오히려 역광에 가까운 측면광이기 때문에 더 빛나는 저 전광판에 있다. 각자의 몫이므로 정치적 입장은 별로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 그러나 ‘신뢰 프로세스’니 ‘통일시대’니 하는 것이 지금 이 사진 속의 상황과 잘 들어맞는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개성공단 철수는 그 이유가 어쨌거나 ‘신뢰 프로세스’와는 격이 맞지 않는 일이다. 저 허무맹랑한 글씨가 전광판에 흐르는 순간 사진가의 가슴은 벅차올랐을 것이다. 사진이 이처럼 ‘허위’와 ‘위선’을 잡아낼 수 있다고 어느 누가 상상이나 했을까. 사진은 가정하지 않는다. 있었던 것은 가정이 아니라 전제이다. 사진은, 아니 모든 예술은 현실을 전제로 한다. 우리가 어려운 번역으로 쉽게 이해하지 못한 롤랑 바르트니 발터 벤야민이니 하는 이들도 사진을 가정해 이야기하지 않았다. 그렇다. 사진은 가정해 찍는 것이 아니다. 어떻게 우리의 삶을 가정할 수 있단 말인가. 벌써 극단적으로 가정해 찍던 디지털 기법의 연출사진이 휴지통으로 속속 들어가고 있는 것이 보이지 않은가.

6.25전쟁의 최대 피해자는 이 땅을 살아가는 남북의 한민족이다. 우리 민족은 아직도 전쟁의 그 지겨운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또다시 전쟁을 부르는 사람들도 적지 않아 보인다. 역사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면 역사는 순환한다. 그동안 이 땅에서 반공이라는 이름으로 독재가 가능했던 것도 순전히 분단상황에서 비롯되었다. 박진희의 분단풍경은 그가 막내에서 최후의 일인으로 지금까지 홀로 지켜오고 있는 사회사진연구소의 존립 이유를 말해준다. 그리고 우리가 그 옛날 사무실을 나눠 썼듯이 오늘의 한국사진과 사진출판이 지향해야 할 바를 잘 제시해 주고 있다. ( 이규상 눈빛출판사 대표)



facebook twitter

월간사진
새롭게 떠오르고 있거나, 국내에 알려지지 않은 다양한 분야의 많은 사진가가 월간사진을 통해 매달 소개되고 있습니다. 월간사진은 사진애호가와 사진가 모두의 입장에서 한발 앞서 작가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심도 깊은 사진가 인터뷰와 꼼꼼한 작품 고새로 국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대표 사진잡지입니다.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