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컬쳐 | 뉴스

서울문화재단, 예술인 중심 콘텐츠 플랫폼 서울예술지원 정보 포털 ‘스파크’ 오픈

2025-07-18

서울문화재단 서울예술지원 선정작 정보포털 메인페이지(예시) (사진제공: 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송형종)은 재단 예술창작지원을 받은 예술작품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창작 콘텐츠의 국내외 확산을 돕기 위한 서울예술지원 정보 포털 ‘스파크(SPAC, Seoul Portal for Approved and Curated)를 공식 오픈했다. 

 

이번에 공개하는 스파크는 서울문화재단이 연간 약 170억원 규모로 지원하는 선정작 500여 건의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소개하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예술인이 직접 콘텐츠를 등록하고 수정하는 방식으로, 신뢰성과 정확성에 기초해 정보가 빠르게 업데이트 될 수 있는 구조를 갖췄다. 가장 큰 특징은 서울 시내 예술공간과 예술인의 활동 데이터를 통합 축적해 ‘서울형 공공예술 데이터베이스’로서의 기능을 갖춘 점이다. 

 

스파크는 예술창작 지원사업 선정작을 기반으로 예술인가 스스로 작품 정보를 등록·수정할 수 있게 설계된 만큼 각 작품에는 예술인이 설정한 키워드가 함께 입력된다. 플랫폼 사용자는 이를 기반으로 자신의 취향에 맞는 공연·전시·예술 콘텐츠를 추천받을 수 있어 예술인의 창작 의도와 맥락이 생생하게 담긴 콘텐츠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는 것이 강점으로 꼽힌다.

 

기존의 플랫폼이 보통 예술인의 이력과 활동 내역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온 반면 스파크는 ‘작품’ 중심의 콘텐츠와 공간정보, 참여 예술인의 이력 등을 창작자가 주체가 되어 구성할 수 있는 점에서 차별점을 갖췄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도 행정 편의를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본인의 취향과 기호를 고려한 문화향유 정보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특장점을 갖춘 문화정보 플랫폼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형 문화예술지도’ 완성을 궁극의 목표로 설정한 스파크는 서울시 전역의 공연장과 전시장 정보를 지도 기반으로 시각화해 위치 기반 검색으로 근처에서 열리는 공연·전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의 ‘예술지도 서비스’를 통해 기존 포털에서 검색되지 않던 소규모 민간 예술 공간 정보까지 수집해 지속적으로 현행화 할 예정으로, 시민에게는 새로운 문화공간을 발견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예술인과 공간에는 새로운 홍보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자치구 문화재단과의 협력을 통해 서울 25개구 간 예술 콘텐츠 연계를 강화하고, 영문 번역 기능 등 글로벌 접근성을 강화해 국내외 유통기반을 마련하며, 앞으로 서울의 우수한 기초예술 작품이 세계무대와 만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서울문화재단 송형종 대표이사는 “지난 4월 취임 100일 설명회에서 강조한 ‘서울의 예술작품의 글로벌 유통 기반’ 마련이 현실화됐다”며, “스파크는 단순 정보 모음이 아닌 예술인의 언어로 구성하는 정보 포털 가치가 있어, 예술인에게는 신뢰받는 디지털 홍보채널로 시민에게는 예술을 가깝게 누리는 새로운 예술 접점이 될 것이며, 공공예술정보의 거점 플랫폼으로 꾸준히 진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사항은 서울예술지원 선정작 정보 포털(spac.sfac.or.kr) 또는 서울문화재단 블로그와 인스타그램(@sfac2004)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에디터_ 최유진(yjchoi@jungle.co.kr)

facebook twitter

#서울문화재단 #예술인중심콘텐츠플랫폼 #서울예술지원정보포털 #스파크 #서울형공공예술데이터베이스 

최유진 에디터
감성을 어루만지는 따뜻한 디자인, 마음을 움직이는 포근한 디자인 이야기를 전하겠습니다.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